쥴리 손 (Julie Son) - 부동산 전문 컨설턴트 (Re/Max Professionals)
매니토바 브랜든 한인교회에서 담임목사를 청빙합니다
데이빗 최(David Choi) 위니펙 부동산 리얼터
황주연(Irene) 부동산
네이션웨스트 보험 - 마틴권
샘 마(Sam Ma) 위니펙 부동산 리얼터
Min ByungGyu 공인회계사
신민경 부동산

 
감동/웃음/슬픔/지혜/음악/문학 이야기방

 

♣ 글은 글쓴이의 인품을 비추는 거울과 같습니다. 답글은 예의와 품위를 갖추어 써주시기를 바랍니다. ♣

♣ 이민, 유학, 현지 정착에 관련된 질문은 해당 게시판에 하시길 부탁드립니다. 이곳은 카테고리에 있는 것처럼 감동/웃음/슬픔/지혜/음악/문학 등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입니다. ♣
♣ 상업적인 광고는 발견시 임시게시판으로 옮겨지며 문의는 kosarang@gmail.com 으로 연락바랍니다. ♣

♣ Ko사랑닷넷 광고안내 보기♣

  

새로운 지식에 접근하는 7가지 팁

작성자 정보

  • KoSaRang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컴퓨터와 인터넷이 사무 환경에 보편화되면서 할 일이 줄어들고 더 여유 있어졌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컴퓨터 세계와 인간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논리적 무한성'과 '물리적 한계'의 격차 때문일 것이다.

'내가 마치 컴퓨터처럼 멀티프로세싱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하고 착각이 들 때가 있다'는 며칠 전 업무차 만난 한 프로그램 개발자의 말이 기억난다. 하나의 일을 하고 있어도 다른 일을 항상 생각해야 하고 동시에 처리해야 할 일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게 그 사람의 의견이었다. 이런 사람은 마음놓고 신문 하나 읽을 수 없을 만큼 여유가 없다고 생각할 때가 자주 있을 것이다.

당연히 자신이 모르는 기술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는 사실은 스트레스가 되기 쉽다. 폭발적으로 쏟아져 나오는 모든 지식을 개인의 힘으로 수용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이런 상황에서 단지 뒤쳐지기 싫다는 이유만으로 억지로 집어넣는 식의 접근은, 이제와 생각해보면 왜 해야 하는지 이유도 모른 채 해야 만 했던 초중고등학교 때 공부하는 기분과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자신에게 필요한 지식이 무엇인지 선별할 줄 알고 이를 체계적이고 경제적으로 습득하고, 또한 그것을 타인과 공유할 수 있는 지혜를 갈고 닦는 자세가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번에는 컴퓨터나 송, 신문, 잡지를 통해 접하게 되는 엄청나게 많은 정보 가운데 원하는 것을 선택,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는지 함께 생각해보고자 한다.

다음에 소개하는 7가지 팁은, 필자가 우연한 기회에 알게된 나성언(lase@chollian.net) 씨가 개인적으로 정리해 둔 것이다. 나성언 씨는 현재 국내 한 IT 벤처기업에서 시스템 프로그래머로 일하고 있다. 참고로 다음의 7가지 팁은 해당 필자의 개인적인 입장에서 정리한 것이므로 맞지 않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자신만의 법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하나, 먼저 명사에 집중한다
얼마 전 순풍 산부인과의 에피소드 하나. 오지명 아저씨에게 무식하다는 핀잔을 들은 선우용녀 아줌마가 대단히 화가 나 디지털, 코스닥, 벤처기업 등의 용어 풀이를 구해서 달달 외우는 내용이 있었다. 이것은 아주 좋은 출발이라 할 수 있다. 물론 그렇게 앵무새처럼 달달 외우기만 하고 만다면 별 소용은 없겠지만.

먼저 명사에 집중하라는 것은 소위 객체 지향 법(Object-oriented method)에서 사용되는 가장 기본이 되는 법이다. 영어를 처음 배우던 때를 기억해 보면 이 법의 중요성을 이해 할 수 있다. '사과는 apple'처럼, 영어를 처음 접했을 때 제일 먼저 명사를 배우게 된다.

아마도 영어를 배웠던 많은 사람들이 가장 재미있어 하던 단계일 것이다. 그러다가 형용사, 부사가 나오고 동사가 나올 때쯤이면, 많은 학생들이 식은 땀 을 흘리기 시작하고, 시제, 분사와 같이 동사가 마구 자신의 모습을 변형시키는 단계가 되다 보면, 영어는 정말 정떨어지는 과목이 되고 만다.

사과와 같이 명사로 표현되는 사물 또는 개념은 안정적인 특성이 있다. 사람의 두뇌는 이러한 안정적인 개념들에 대해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반면 동사란 변화 무쌍하고 불안정한 특성이 있어 똑같은 생김새 일 지라도 상황에 따라 그 의미하는 바가 다를 수 있고 동사를 한정시키는 명확한 개념을 파악하기 힘들다.

이와 같은 품사는 기본적으로 사람의 두뇌에 부담을 주고 불안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단순히 '튀다'라고 하면 공이 튀는 것인지, 도둑이 튀는지, 화가 난 팀장의 입에서 침이 튀는지 알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지식을 접할 때에는 단순히 책이나 자료를 첫 줄부터 읽어 나가기보다는 전체적으로 훑어보면서 안정적이고 객관적인 명사적인 개념을 찾아 그 것부터 명확히 이해하고 머리 속에 전체적인 틀을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런 의미에서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이다.

다음은 그 개념들 간의 관계와 개념의 속성을 파악한다. 초고속 인터넷을 더 자세히 알고 싶을 경우를 예로 들어본다면, ADSL, 홈 PNA, CATV 식은 모두 초속 인터넷에 사용되는 통신 식이므로 모두 고속 개인 가입자 인터넷의 하위 개념에 속한다. ADSL과 홈 PNA 식은 기존 전화선을 사용하고 CATV 인터넷은 케이블 TV망을 사용하므로 사용선로라는 속성으로 이들을 서로 분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신의 지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알고자 하는 내용을 명사, 관계, 속성의 순으로 파악해 머릿속에 뚜렷한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작업을 우선으로 수행해 점차 그 정도와 깊이를 더해가는 것이다.

 

둘, 알고자 하는 정도를 명확히 한다
어디까지 알아야 하는가, 어느 선에서 자르는가는 수많은 지식과 정보의 우주 속에서 미아가 되지 않기 위해 필수적인 작업이다. 조직 책임자, 관리자의 일을 오래한 사람들은 이미 이러한 일을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능숙하게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하루에도 수없이 발생하는 모든 일을 조직 책임자 한 사람이 모두 시시콜콜 알 수 없으므로 업무 담당자의 보고를 통해 전체를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철학의 인식론에서 추상화(Abstraction)라고 하고, 객체 지향 법에서 이 개념을 빌어와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식을 얻고자 할 때 그 깊이를 잘 조절하는 거의 유일한 법은 자신이 이 지식을 필요로 하는 목적과 목표를 명확히 하는 것이다.

처음에 다소 불분명한 경우도 있겠지만 최대한 잘 정의해서 책상머리에 붙여두는 것이 쓸데없이 딴 길로 세는 실수를 지하고(꼭 나쁘다고는 할 수 없지만) 효율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나로서는 초고속 인터넷망을 고르는 작업에서 CATV의 변조 식을 이해할 필요는 없었다.

셋, 흔적을 남긴다
학생의 경우는 좀 다를 수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사회인이라면 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한 가지 문제에 집중하지 못할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면 책은 볼 때마다 새롭고, 일 년이 지나 지난날을 돌아보면 남는 게 없다고 투덜거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사태를 최대한 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흔적을 남기는 게 중요하다.

책을 보고 있다면 밑줄을 긋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하다 못해 소설책을 읽는 중이라고 하더라도, 읽다 보면 문득문득 떠오르는 생각들을 그대로 흘리지 말고 그 자리에 메모를 해야 한다. 책에 낙서하는 것이 싫다면 '포스트잇'이라도 붙이는 정성이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책은 빌리지 말고 자기 것을 사는 것이 좋고, 안되면 복사라도 해서 실천하다 보면 위와 같이 까먹는 사태는 당연히 줄게 된다.

또한 노트 한 권을 마련해서 앞의 첫번째와 두번째 팁에서 파악된 내용을 어떤 형태로건 적는 것이 중요하다. 쓸 데 없다고 생각되더라도 적다 보면 요긴하게 쓰이게 된다. 사람의 기억은 그물과도 같아서 어느 한곳을 집어 당기다 보면 다른 부분도 줄줄 연결되어 나오는 경향이 있다.

적어두는 행위는 정보를 정리한다는 의미 외에도 정보의 수집, 아이디어 도출 등 그 쓰임새는 생각보다 대하다. 자기 IQ가 150이 넘는다면 모를까, 아니라면 메모는 필수다.

 

넷, 항상 안테나를 세워둔다
인터넷이란 것은 참으로 대단한 것이다. 단지 몇 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던 많은 일들이 이젠 앉은자리에서 가능해졌다. 요즘 같은 시대에 두꺼운 책에만 매달린 다는 것은 무식한 일일지도 모른다. 인터넷을 통해 먼저 고민했던 다른 사람의 지혜를 얻을 수 있다.

인터넷을 창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나름대로의 노하우를 쌓아 두는 것이 좋다. 인터넷뿐만 아니라 주변 모든 채널을 통해 필요한 것을 얻어 낼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 한 마디로 안테나를 높이 세우고 있어야 한다. 때에 따라서는 정보가 제 발로 찾아오는 경우도 있다.

다섯, 알게된 지식을 정리한다
세번째 팁의 내용이 기초적이고 주관적인 정리라면, 이번은 보다 더 적극적이고 객관적인 형태의 정리를 말한다. 일반적인 노트의 형태가 될 수도 있고 문서 자료의 형태를 갖출 수도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노트 정리와 같은 것보다는 적절한 정보 정리 툴을 활용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개인적으로는 마인드 맵 기법을 추천한다. 마인드 맵 기법을 보다 자세히 알고자 한다면 시중에 나와있는 서적을 참고하기 바란다. 이 기법을 통해 획득한 지식을 통합적이며 체계적인 형태로 정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엇보다도 마인드맵은 한번만 들어두면 나중에 한번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전체 내용을 다시 파악할 수 있는 막강한 힘을 가질 수 있다.

세미나, 교육 같은 일에 주 또는 보조 자료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개인적인 경험인데 마인드 맵 자료를 이용해 교육을 하게 되면 별도 준비를 하지 않고 5분 동안만 훑어보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가 많다.

여섯, 아는 것은 공유한다
자기가 알게 된 내용은 어떤 형식이 됐든 간에 다른 사람에게 발표해 보는 것이 좋다. 쉬는 시간 동료와의 한담이라든가 식사시간 같은 때라도 다른 사람에게 얘기를 하다 보면 의외로 자기자신의 불완전한 부분을 알게 될 수도 있고, 상대으로부터 뜻밖의 아이디어나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얻을 수도 있다.

완전한 인간이 없듯이 완전한 지식이란 것도 없다. 공유라는 과정을 통해 지식은 보다 더 성숙해 질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보다 더 적극적인 법으로 세미나와 같은 기회를 자주 갖는 것이 좋다. 사실 세미나에서는 듣는 사람보다 말하는 사람이 더 배우는 법이다.

어느 컨설턴트는 정보란 '정을 주고받는 것'으로 정의했다. 지식도 머리 속에 오래 고여있으면 썩는다. 알량한 지식을 꼭 쥐고 있기보다는 자꾸 퍼냄으로서 머리를 맑게 할 수 있고, 더불어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일 여유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일곱, 처음부터 완벽주의는 금물
처음부터 완벽할 수는 없다. 완벽주의는 사람에게 상당한 스트레스를 요구한다. 긴박한 업무사안이 아닌 다음에야 이러한 스트레스를 뚫고 끝까지 진행한다는 것은 기적과 같은 일로 중도에 포기해버리기 쉽다.

이를 즐기는 사람이 아니라면 완벽주의 심리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즐거운 마음으로 지속적으로 한다. 반복의 과정을 통하여 지식과 지식을 쌓는 법으로 점차 완전해져 갈 수 있다.

 출처 :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iseek&folder=39&list_id=6872807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82 / 5 페이지
  • [팝송] 사라 브라트맨(Sarah Brightman) - 겨울 빛(Winter Light)
    등록자 푸른하늘
    등록일 03.06 조회 6613

    음악 이야기 겨울 빛 / 사라 브라트맨 - Winter Light / Sarah Brightman - Hearts call 마음이 불러요 Hearts fal…

  • [팝송] Kansas - Dust In The Wind
    등록자 푸른하늘
    등록일 11.22 조회 5070

    음악 이야기 Dust In The Wind (바람 속 먼지) - Kansas - I close my eyes only for a moment. 잠시동안 난 …

  • [팝송] Taylor Swift - You Belong With Me
    등록자 푸른하늘
    등록일 04.16 조회 4724

    음악 이야기 You belong with me - Tayior Swift - You're on the phone with your girlfriend, sh…

  • [팝송] Tamia - Officially Missing You
    등록자 푸른하늘
    등록일 04.15 조회 5168

    음악 이야기 Officially Missing You - Tamia - All I hear is raindrops falling on the rooftop …

  • 이것이 일본의 만행이다. (보이는데 2-3분이 걸리니 기다려 주세요)
    등록자 관리자
    등록일 03.05 조회 9171

    슬픈 이야기 이것이 일본의 만행입니다. ?..이것이일본의실체입니다..? 우리의선열들은대한독립만세를외치고독립군가를부르면서일본군의잔학하고악랄하고무자비한총칼에순직…

  • [팝송] Lynn Anderson - Rose Garden
    등록자 푸른하늘
    등록일 02.06 조회 5225

    음악 이야기 Rose Garden - Lynn Anderson - I beg your pardon I never promised you a rose gard…

  • 일본의 공격
    등록자 서울사나이
    등록일 01.31 조회 2882

    기 타 대한민국은 지금 일본으로 부터 공격을 받는듯한 느낌이 든네요. 독도 영유권 주장과 미국괴 가르기 등 김연사 금에달은 일본 코치가 있어기 때문이라…

  • 잡념과 신념사이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3004

    따뜻한 이야기 잡념과 신념 사이 인간계발 작가 한 지훈 지금 눈앞에 펼쳐진 많은 사건들 중 10% 만이 객관적인 사실이고 나머지 90%는 모두 나의 선택에 의…

  • 에너지 넘치는 사람이 되기 위한 4가지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4413

    따뜻한 이야기 에너지 넘치는 사람이 되기 위한 4가지 방법 인간계발 작가 한지훈 1. 위대한 자기암시를 걸어라 세상 살다 보면 자기 마음대로 되는 것이 하나도…

  • 우울한 나를 쌓아두지 말자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3459

    따뜻한 이야기 우울한 나를 쌓아두지 말자. 인간계발 작가 한지훈 우리 내면에는 “우울한 나”가 존재한다. 우울한 나는 항상 내면의 목소리를 우울하게 만드는 역…

  • 정말 멋진 새로운 나를 만나는 3가지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3163

    따뜻한 이야기 정말 멋진 새로운 나를 만나는 3가지 방법 인간계발 작가 한 지훈 1. 세상을 관찰(watching)하자. 세상을 살다보면 힘든 일이 많이 발생…

  • 외로움과 타협하는 습관을 버리자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3591

    따뜻한 이야기 외로움과 타협하는 습관을 버리자.  인간 계발 작가 한 지훈 가을이다. 가을은 대표적인 외로움의 계절이다. 가을은 상승의 계절이라기 보다는 하…

  • 나를 사랑하면 행복해 질 수 있다.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3100

    따뜻한 이야기 나를 사랑하면 행복해 질 수 있다.  인간 계발 작가 한 지훈 행복으로 다가가기 위해 가장 중요한 조건은 나를 사랑하는 것이다. 하지만 나를 …

  • 우울함과 바보 같은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4677

    따뜻한 이야기 우울함과 바보 같은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방법 인간 계발 작가 한 지훈 우울한 삶을 사는 사람들은 짜증과 두려움이라는 기분 나쁜 놈을 항상 가슴속…

  • 끈적 끈적한 부정적 습관에서 벗어나야 한다.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3260

    따뜻한 이야기 끈적 끈적한 부정적 습관에서 벗어나야 한다. 인간 계발 작가 한 지훈 레밍 쥐(나그네 쥐)는 개체수가 늘어나면 스스로 절벽에서 몸을 던져 목숨을…

  • 새로운 삶에 대한 도전 -용서하기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2845

    따뜻한 이야기 새로운 삶에 대한 도전 "용서하기"  인간 계발 작가 한 지훈  "용서" 라는 단어는 왠지 손해 보는 듯한 느낌이 든다. 용서란 타인을 수용…

  • 고난을 멋지게 극복하는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4910

    따뜻한 이야기 고난을 멋지게 극복하는 방법  인간 계발 작가 한 지훈  사람은 누구나 자신에게 닥쳐오는 고난을 두려워한다. 필자 역시 너무도 나약했기 때문…

  • 삶의 설레임을 유지하는 3가지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5471

    따뜻한 이야기 삶의 설레임을 유지하는 3가지 방법  인간 계발 작가 한 지훈  1. 설레임이 없다면 삶은 지루한 그 무엇이 될 뿐이다. 우리는 늘 처음 기…

  • 힘없이 무너지는 나를 치하고 있을때 명심해야 할 2가지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2917

    따뜻한 이야기 힘없이 무너지는 나를 방치하고 있을때 명심해야 할 2가지 인간 계발 작가 한 지훈 1. 당신은 현재의 고통 앞에 당당해질 수 있는 의지적 인간이…

  • 진짜 자신의 삶을 사는 3가지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2669

    따뜻한 이야기 진짜 자신의 삶을 사는 3가지 방법 인간 계발 작가 한 지훈 1. 절대 삐치지 말자. 잘 토라지고 삐치는 사람들이 많다. 이런 사람들의 공통된 …

  • 행복하고 의미있게 성공하는 3가지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2621

    따뜻한 이야기 행복하고 의미있게 성공하는 3가지 방법 인간계발 작가 한 지훈 1. 낡은 것을 사랑 할 수 있다면 진정한 강자다. 우리는 익숙한 사람들에게 쉽게…

  • 잉여인간 에서 벗어나는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2930

    따뜻한 이야기 “잉여인간”에서 벗어나야 한다. 인간 계발 작가 한 지훈 손창섭의 전후 소설 잉여인간에서는 무가치한 인간군상들이 등장한다. 잉여라는 말은 쓰고 …

  • 당신은 혼자 있을 때 무엇을 하십니까?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2926

    따뜻한 이야기 당신은 혼자 있을 때 무엇을 하십니까? 인간 계발 작가 한 지훈 영국의 철학자 버트 런트 러셀은 그의 저서 “왜 사람들은 싸우는가?”에서 사람을…

  • 힘들고 지칠 때 읽으면 힘이 되는 글^^
    등록자 JUSTIN11
    등록일 09.21 조회 4033

    따뜻한 이야기 힘들고 지칠 때 읽으면 힘이 되는 글 인간 계발 작가 한 지훈 1. 슬픔도 기쁨도 곧 지나가는 바람일 뿐이다. 현명하지 못한 사람들은 현재 처한…

  • [팝송] sweetbox - Everything's Gonna Be Alright
    등록자 푸른하늘
    등록일 06.17 조회 5020

    음악 이야기 Everything's Gonna Be Alright - sweetbox - Everything's gonna be alright 모든 게 다 …

[알립니다]
** Ko사랑닷넷의 광고는 광고주의 요청에 의해 작성/광고되고 있으며, 광고내용에 대해 Ko사랑닷넷은 어떠한 보증도 하지않습니다.
** 광고에 따른 모든 거래는 본인 책임 아래하시기 바라며, 분쟁발생시 광고주와 소비자간에 직접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 허위광고나 부당한 거래가 있으면 kosarang@gmail.com 으로 연락을 주시면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