쥴리 손 (Julie Son) - 부동산 전문 컨설턴트 (Re/Max Professionals)
신민경 부동산
샘 마(Sam Ma) 위니펙 부동산 리얼터
황주연(Irene) 부동산
Min ByungGyu 공인회계사
매니토바 브랜든 한인교회에서 담임목사를 청빙합니다
네이션웨스트 보험 - 마틴권
데이빗 최(David Choi) 위니펙 부동산 리얼터

 
감동/웃음/슬픔/지혜/음악/문학 이야기방

 

♣ 글은 글쓴이의 인품을 비추는 거울과 같습니다. 답글은 예의와 품위를 갖추어 써주시기를 바랍니다. ♣

♣ 이민, 유학, 현지 정착에 관련된 질문은 해당 게시판에 하시길 부탁드립니다. 이곳은 카테고리에 있는 것처럼 감동/웃음/슬픔/지혜/음악/문학 등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입니다. ♣
♣ 상업적인 광고는 발견시 임시게시판으로 옮겨지며 문의는 kosarang@gmail.com 으로 연락바랍니다. ♣

♣ Ko사랑닷넷 광고안내 보기♣

  

역사 이야기 분류

1919년 5월 15일 위니펙 총파업(Winnipeg General Strike)에 대하여

작성자 정보

  • KoNews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1919년의 위니펙 총파업(The Winnipeg General Strike)은 캐나다 역사상 가장 큰 파업(strike)이었습니다. 1919년 5월 15일에서 6월 25일 사이에 3만 명 이상의 근로자들이 그들의 일자리를 떠났습니다. 공장, 상점, 대중교통 및 시 서비스들이 폐쇄되었습니다. 그 파업으로 체포, 부상과 두 명의 시위대가 사망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그것은 즉시 근로자들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취업 조건을 개선하는데는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그 파업은 캐나다의 노동 계급을 단결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일부 참가자들은 현재 신민주당(New Democratic Party)을 설립하는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1919년 6월 21일의 피의 토요일(Bloody Saturday)에 마켓 애비뉴(Market Avenue) 근처의 메인 스트리트(Main Street)에서 전차(a streetcar)를 뒤집기 시작하는 군중의 사진 (링크된 사진: 출처 - 위니펙 프리 프레스)
 
 
■ 핵심 용어 

- 볼셰비키(Bolshevik) : 볼셰비키는 원래 1917년의 러시아 혁명(the Russian Revolution)에서 권력을 잡은 러시아 사회당(the Russian socialist party)의 급진적인 단원(a radical member)을 의미했으나 나중에 어떤 혁명적 사회주의자(revolutionary socialist)를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 자본주의(Capitalism) : (국가가 아닌) 개인 소유주가 산업을 통제하고 이익을 얻는 경제 시스템. 

- 단체 교섭(Collective bargaining) : 고용인 그룹(a group of employees)을 대신하여 노동조합(a labour union)에 의한 임금 및 기타 노동 조건을 협상하는 것. 

- 총파업(General strike) : 모든 또는 대부분의 산업들에서 종사자들이 일을 그만두는 항의(a protest). 

- 인플레이션(Inflation) : 가격의 일반적인 상승과 돈의 가치 감소 (캐나다 인플레이션 참조
 
- 노동(Labour): 일반적으로 노동(labour)은 일(work)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노동자(workers)(특히 육체 노동자-manual labourers)는 계급(a class) 또는 정치권력(political power)으로 간주합니다. 

- 노동조합(Labour union) : 회원들의 권리를 보호하고 더 나은 임금, 혜택 및 조건을 추구하기 위해 형성된 노동자 그룹. 이 용어는 종종 노조(union)로 축약됩니다. (노동기구 참조)

- 선동(Sedition) : 사람들이 정부에 반항(rebel)하도록 움직이는 식으로 행동하거나 말하기.

- 신디칼리즘(Syndicalism): 모든 노동자들을 노조들(unions)과 노동자 협의회들(workers’ councils)로 조직하려는 국제적인 시도. 신디칼리즘(syndicalism)의 목표는 자본주의(capitalism)를 무너뜨리고 노동자들에게 생산 수단(the means of production)을 제공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총파업(general strikes)과 같은 행동을 지원했습니다. 이 운동은 20세기 전반기에 활동적이었습니다. (혁명적 산업 연합주의 참조)


■ 배경

제1차 세계 대전(the First World War) 후, 많은 캐나다 노동자들(Canadian workers)은 고용주(employers)가 번영하는 동안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애썼습니다. 실업(unemployment)은 높았고, 전쟁에서 돌아온 참전 용사들(veterans)을 위한 일자리들은 거의 없었습니다. 인플레이션(inflation)으로 인해 주택과 식량은 감당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위니펙 시에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은 노동 계급 이민자들(working-class immigrants)이었습니다. 

세계 다른 곳의 노동자들은 더 나은 대우(better treatment)를 위해 싸우고 있었습니다. 1917년의 성공적인 러시아 혁명(Russian Revolution) 이전에 파업들이 있었습니다. 신디칼리즘(syndicalism)이라고 불리는 국제 노동자 운동(international workers’ movement)이 자본주의(capitalism)를 무너 뜨리려고 했습니다. 그것은 1919년 3월에 캘거리(Calgary)에서 만난 서부 캐나다 노동 지도자들(western Canadian labour leaders)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그곳에서 그들은 '하나의 큰 노동조합(the One Big Union)'의 창설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 위니펙 총파업(Winnipeg General Strike)

매니토바주 위니펙 시에서는 건물 및 금속 거래(the building and metal trades)의 근로자들이 관리자와 협상하여 일자리 개선을 위해 협상했습니다. 그들은 단체 교섭(collective bargaining), 더 나은 임금(better wages) 및 더 나은 노동 조건(better working conditions)에 대한 권리(the right)를 원했습니다. 노동자들은 1919년 5월 초에 여러 차례 파업을 벌였습니다. 5월 15일에 위니펙 무역 및 노동위원회(the Winnipeg Trades and Labor Council, 이하 WTLC)는 협상이 중단된 후 총파업(a general strike)을 촉구했습니다 (노동 중재 참조).

몇 시간 만에 거의 3만 명의 남녀가 일자리를 떠났습니다. 이로 인해 도시의 개인 소유 공장들, 상점들 및 열차들이 운영을 멈췄습니다. 공무원들(public employees)이 그들과 연대하여 합류했습니다. 여기에는 경찰, 소관, 우편 노동자(postal workers), 전화 및 전신 운영자(telephone and telegraph operators), 유틸리티 근로자들(utilities workers, 참고; 전기/가스 등 기본 서비스 근로자들)이 포함되었습니다.

중앙 파업 위원회(The Central Strike Committee)는 파업을 조정했습니다. 위원회의 회원은 위니펙 무역 및 노동위원회(WTLC)에 연결된 각 노동조합에서 선임되었습니다. 그 파업 위원회(The strike committee)는 노동자들을 대신하여 고용주들과 교섭했습니다. 또한 위니펙 시에서 필수 서비스(essential services)가 계속되도록 했습니다.
 
 
 
■ 반대(Opposition)

파업에 반대하는 조직을 위해 '1,000 명의 시민위원회(The Citizens’ Committee of 1,000)'가 신속하게 결성되었습니다. 위니펙 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비즈니스 지도자들(business leaders)와 정치가들(politicians)이 포함되었습니다. 이 위원회는 파업 노동자들의 요구들을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파업을 "외계인 쓰레기(alien scum)"의 작은 그룹이 이끄는 혁명적 음모(a revolutionary plot)라고 불렀습니다. 위니펙 시의 주요 신문들도 이 견해를 받아들였습니다. 실제로 볼셰비키(Bolsheviks)와 동유럽 이민자들(immigrants)에 의해 파업이 시작되었다는 증거는 거의 없었습니다. 그러나 시민위원회(the Citizens’ Committee)는 이러한 입증되지 않은 혐의를 사용하여 근로자들을 달래기 위한 노력을 차단했습니다.

 
■ 정부의 대응(Government Response)

캐나다 연정부(federal government)는 개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연정부는 파업이 다른 도시들에서 갈등들을 일으킬까봐 두려웠습니다. 파업이 시작된 직후 두 명의 내각 장관들(Cabinet ministers)은 위니펙 시의 시민위원회(the Citizens’ Committee)를 만났습니다. 이 관리들은 상원 의원(Senator)이자 노동 장관(minister of labour)인 기드온 로버트슨(Gideon Robertson), 내무부 및 법무부 장관(minister of the interior and acting minister of justice)인 아서 메이겐(Arthur Meighen)이었다. 로버트슨(Robertson) 장관과 메이겐(Meighen) 장관은 중앙 파업 위원회(the Central Strike Committee)와의 만남을 거부했습니다.

시민 위원회(the Citizens’ Committee)의 조언에 따라, 연 정부는 고용주들(employers)을 신속하게 지원했습니다. 연정부는 연 노동자들(federal workers)이 즉시 일하러 돌아 오지 않는 한 그들을 해고하겠다고 위협했습니다. 연의회(Parliament)는 영국 태생의 이민자들이 추 될 수 있도록 이민법(Immigration Act)을 변경했습니다. 또한 형법(Criminal Code)의 선동에 대한 정의(definition of sedition)를 넓혔습니다. (형법 제 98 조 참조).

6월 17일, 연정부는 중앙 파업 위원회(the Central Strike Committee)의 지도자들 10 명과 '하나의 큰 노동조합(the One Big Union)'의 회원 2 명을 체포했습니다. 4일 후에는 파업자들은 체포된 지도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침묵의 퍼레이드(a silent parade)를 열었습니다. 시청에서 그 군중들은 전차 한 대(a streetcar)를 파손하기 시작했습니다. 왕립 북서 기마경찰(The Royal North-West Mounted Police)은 시위대에 돌진하여 곤봉들(clubs)을 가지고 때리고 총알을 발사했습니다. 그 폭력으로 약 30명의 사람들이 부상을 입었고 2명이 사망했습니다. 피의 토요일(Bloody Saturday)로 알려진 이 날은 연군(federal troops)이 위니펙 시의 거리를 점령하면서 끝났습니다.

경찰은 노동계 지도자들 6명을 석했지만, 매일 파업 보드(the daily Strike Bulletin)의 편집장들(editors)인 프레드 딕슨(Fred Dixon)과 J.S. 우즈워스(J.S. Woodsworth를 체포했습니다.

정부와 고용주의 결합된 권력이 그 파업을 무너 뜨렸습니다. 시위자들은 6월 25일에 일터로 돌아가기로 결정했습니다.

결국 7명의 파업 지도자들은 연정부를 전복시킬 계획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그들은 6개월에서 2년의 징역형(jail terms)을 선고받았습니다. 우즈워스(Woodsworth)에 대한 혐의는 기각되었습니다.


https://tce-live2.s3.amazonaws.com/media/new_article_images/WinnipegGeneralStrike/William%20Wilson%2003.jpg

1919년 6월 21일의 피의 토요일(Bloody Saturday)에 메인 스트리트(Main Street)와 마켓 애비뉴(Market Avenue)에서 도로 코너를 돌고 있는 기마병들(mounted troops)의 사진. (Manitoba/N11754의 기록 보관소 서비스)

 
https://tce-live2.s3.amazonaws.com/media/new_article_images/WinnipegGeneralStrike/William%20Wilson%2004.jpg
1919년 6월 21일의 피의 토요일(Bloody Saturday)에 마켓 애비뉴(Market Avenue) 근처의 메인 스트리트(Main Street)에서 전차(a streetcar)를 뒤집기 시작하는 군중의 사진. (Manitoba/N12342의 기록 보관소 서비스)


■ 중요도(Importance)

단기간에 위니펙 총파업(the Winnipeg General Strike)은 근로자들에게 이익을 주지 못했습니다. 그것은 캐나다 전역의 조직된 노동 단체들(organized labour groups) 사이에서 괴로움과 논쟁의 유산(a legacy of bitterness and controversy)을 남겼습니다. 그러나 노동자들을 공통의 목표를 중심으로 통합하는데 있어서, 또한 그것은 그들 사이의 분열(divides)을 연결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위니펙 시에서는 캐나다 태생의 노동자들(Canadian-born workers)이 영국과 유럽 본토 출신의 이민자들(immigrants from Britain and mainland Europe)과 함께 걸어 나갔습니다.


<알고 있었나요?>
제 1차 세계 대전 후, 중부, 남부 및 동부 유럽의 이민자들은 종종 의심의 여지가 있었습니다. 1920년대 초, 캐나다 정부는 그들을 "선호되지 않은(non-preferred)" 범주로 분류했습니다. (편견 및 차별, 캐나다 이민 정책 참조)


그 총파업(The general strike)은 더 많은 노조주의(unionism)와 행동주의(activism)를 촉발시켰습니다. 노바스코샤 주(Nova Scotia)의 앰어스트(Amherst) 시부터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British Columbia)의 빅토리아(Victoria) 시까지 도시 노동자들은 위니펙 파업 노동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걸어 나갔습니다. J.S. 우즈워스(J.S. Woodsworth)를 포함한 일부 파업 지도자들은 정부에 선출되었습니다. 우즈워스(Woodsworth)와 다른 전직 파업자들(former strikers)은 협동 연 연맹(the Co-operative Commonwealth Federation)을 설립하는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 사회주의 노동당(socialist labour party)은 나중에 신민주당(the New Democratic Party)이 되었습니다.

위니펙 총파업(the Winnipeg General Strike) 이후 고용주들이 캐나다 노동자 노조들(Canadian workers’ unions)를 인정하고 단체 교섭권(collective bargaining rights)을 부여하는데 30 년이 걸렸습니다.

 
이상 캐나다인 백과사전(thecanadianencyclopedia.ca)에서 인용 요약함.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82 / 9 페이지
  • (경험담) 인도에서 겪었던 황당한 시츄에이션!!!!
    등록자 Erica
    등록일 10.16 조회 3025

    웃긴 이야기 나는 작년과 올해초를 인도에서 가족들과 함께 보냈다. 인도는 사람들이 걸어다니는 인도를 뜻하는 말로, 길거리에서 노숙을 했다는 소리는 물론 아니…

  • 대한민국의 장래는 희망이 있읍니다. 댓글 1
    등록자 Erica
    등록일 10.16 조회 4441

    따뜻한 이야기 태어날 때부터 가난이라는 것을 전혀 몰랐기에 "경제발전" 이라는 말은 가슴에 다가오는 말이 아니었습니다. 원래 한국은 이 정도로 사는 나라라고 …

  • 이렇게 고치면 안되나요.? 스시 (SU SHI) 를 김밥(KIMBOB) 으로 ,, 사실 별개이름이긴 한데 ^-^ 댓글 1
    등록자 Shiny
    등록일 10.15 조회 7127

    웃긴 이야기 A; 이것 고치면 안되남여 ......B;김밥 옆구리 터지는 소리하네~에 ^-^무슨 소리냐구요? 제가 이민 초보자라 그런것만 보이네요.얼마전다운…

  • 좋은 질문의 힘
    등록자 푸른하늘
    등록일 10.07 조회 2543

    지혜 이야기 "사과는 왜 땅에 떨어질까?""불안이란 무엇이며, 왜 생길까?""꿈이란 무엇인가?""저 거북이는 왜 저렇게 생겼을까?"떨어지는 사과에 대한 질문…

  • 운동중에 평상심 유지란..
    등록자 시골
    등록일 10.05 조회 4498

    건강이야기 대개 좋아하는 운동이 하나쯤은 있을것입니다.그리고 그 좋아하는 정도의 레벨이 있을 것입니다.운동을 하면서 항상 자기 레벨을 improve하기 위…

  • 소변의 색깔 댓글 1
    등록자 Shiny
    등록일 09.26 조회 6024

    건강이야기 망진중 하나를 소개 할 까 합니다. =망진:바라만 보고 진찰하는 법아시는바와 같이,소변은 인체대사를 통해 만들어지는 배출물 이기에인체의 구석구석…

  • '나의 신조'와 웅진 윤석금 회장 댓글 1
    등록자 푸른하늘
    등록일 09.24 조회 5424

    지혜 이야기 1.나는 나의 능력을 믿으며, 어떠한 어려움이나 고난도 이겨낼 수 있고 항상 자랑스러운 나를 만들 것이며 항상 배우는 자세로 더 큰 사람이 될 …

  • 당신의 낙하산은 누가 준비해주나요? 댓글 1
    등록자 썬더양정배
    등록일 09.23 조회 5421

    기 타 당신의 낙하산은 누가 준비해 주나요?(Who packs your parachute?)찰스 플럼은 미 전투기 조종사로 베트남전에 참전을 했습니다.…

  • 나약해지지 않는 한결같음... 박찬호와 김명민 댓글 1
    등록자 푸른하늘
    등록일 09.17 조회 6174

    감동 이야기 사실 어느 분야든 특출난 사람은 다른 이들과 같지 않다. 우리가 흔히 쉽게 돈 번다고 생각하는 직업인들. '얼굴 하나 예쁜 걸로 오래도 가네?'…

  • 마음이 녹슬지 않게 댓글 1
    등록자 썬더양정배
    등록일 09.16 조회 3671

    기 타 마음이 녹슬지 않게쇠에서 생긴 녹이 쇠에서 나서 쇠를 먹어 들어가듯방종한 자는 자기 행위때문에스스로 지옥으로 걸어간다- '법구경' 에서 -

  • [팝송] 스타탄생 주제곡 Evergreen - 바바라 스트라이샌드
    등록자 푸른하늘
    등록일 09.05 조회 11190

    음악 이야기 크리스 크리스토퍼슨(Kris Kristofferson)과 바바라 스트라이샌드(Barbra Streisand) 주연한 영화 A star is bo…

  • 마틴 루터 킹 목사의 "I have a dream"
    등록자 푸른하늘
    등록일 08.25 조회 9064

    문학 이야기 Martin Luther King "I have a dream" I have a dream나는 꿈이 있다.■ Speech of Martin Lu…

  • [팝송] In Dreams - Roy Orbison
    등록자 푸른하늘
    등록일 08.23 조회 7180

    음악 이야기 In Dreams - Roy Orbison A candy colored clownthey call the sandmantiptoes to my …

  • 글루코사민 은 관절염에 좋은가? 댓글 1
    등록자 토너
    등록일 08.19 조회 2997

    건강이야기 인기 건강식품인 글루코사민이 효과 논란에 휩싸였다. 글루코사민은 연간 1000억 원 대 시장을 형성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플라시보(위약) 효과 정…

  • 어느 한국인의 인종차별.. 댓글 2
    등록자 알렉스
    등록일 08.14 조회 6489

    슬픈 이야기 [한겨레21] [줌인] 성공회대 연구교수 보노짓 후세인, 버스에서 심한 욕 듣고 '모욕죄'로 고소… 인종차별 행위를 처벌하는 첫 사례 될까 스물…

  • 칭기즈칸 - 도와주리라고 기대하지 마라 댓글 2
    등록자 양정배
    등록일 07.28 조회 5355

    기 타 황무지를 떠돌아다니고 글도 모르던 몽골 고원의 야만인 유목민 150만이 동으로 고려, 서로 헝가리, 북으로 러시아 시베리아, 남으로 베트남 지역…

  • 김대리의 하루 휴가의 이유
    등록자 본드
    등록일 07.24 조회 6037

    웃긴 이야기 김대리가 부장에게 하루 쉬겠다는 휴가원을 냈다.부장이 말한다."김대리. 1년은 365일이지?하루는 24시간이고. 그 중 자네 근무시간은 8시간이…

  • 멕시코 소녀 4천명의 어머니, 정말지 수녀님 댓글 4
    등록자 양정배
    등록일 07.19 조회 4321

    기 타 멕시코 소녀 4천명의 어머니, 정말지 수녀님멕시코에는 학교에 갈 형편이 안 되었던 소녀들이 무료로 공부하는 기숙 학교가 있습니다. 4천명의 소녀…

  • ' 기적의 썩지 않는 사과 ' 아세요. 댓글 1
    등록자 미로
    등록일 07.17 조회 6246

    지혜 이야기 썩지 않는 ‘기적의 사과’를 아십니까…日 농부의 감동 실화 2009/07/17 [쿠키 문화] 세계 최초로 썩지 않는 사과를 개발한 한 시골 농부…

  • 분야별 우리나라 소문 난 의사들
    등록자 양정배
    등록일 07.16 조회 5663

    기 타  분야별 우리나라 소문 난 의사들 (名 醫 ) 1. 간이식의 아산병원의 이승규 박사 2. 위암 연세 세브란스병원 외…

  • 행복한 '조력 자살' 어찌 생각하시는 지요?
    등록자 미로
    등록일 07.15 조회 7692

    건강이야기 논란 남긴 ‘행복한 조력 자살’ 영국의 유명 지휘자 부부, 스위스 클리닉서 자살“스스로 선택 필요” - “가난한 환자 치료포기 속출” 영국의 유…

  • 한국의 속담 댓글 1
    등록자 본드
    등록일 07.14 조회 6707

    지혜 이야기 한국의 속담 이리 해라 저리 해라 하여 이 자리에 춤추기 어렵다 산지기가 놀고 중이 추렴을 낸다 살은 쏘고 주워도 말은 하고 못 줍는다 살이 살…

  • 뜸북~뜸북~뜸북새.. 댓글 2
    등록자 윈디
    등록일 07.11 조회 3914

    따뜻한 이야기 위니펙에 머문지 어언 1년이 되어가는군요.나이드신 부모님을 떠나 아이들을 공부시킨답시고,,이민을 하여 건너왔어요.마음으로는 부모님을 ,,행동으로…

  • 관리자님 댓글 3
    등록자 양정배
    등록일 07.09 조회 3776

    기 타 안녕하세요? 관리자님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아침에 출근해서 메일을 확인했는데 코사랑 회원분이 메일을 보냈더군요.내용인즉, 제가 유학게시판에 …

  • 숀 리드스톤(Sean Anthony Leadstone)을 조심 하세요!! 댓글 1
    등록자 레인보우
    등록일 07.04 조회 13625

    슬픈 이야기 숀 리드스톤 (Sean Anthony Leadstone, 34세)을 조심하세요!! 숀 리드스톤 (Sean Anthony Leadstone, 34…

[알립니다]
** Ko사랑닷넷의 광고는 광고주의 요청에 의해 작성/광고되고 있으며, 광고내용에 대해 Ko사랑닷넷은 어떠한 보증도 하지않습니다.
** 광고에 따른 모든 거래는 본인 책임 아래하시기 바라며, 분쟁발생시 광고주와 소비자간에 직접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 허위광고나 부당한 거래가 있으면 kosarang@gmail.com 으로 연락을 주시면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