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Girl with a Pearl Earㄱing - 명화와 영화
작성자 정보
- 자작나무숲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088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네델란드의 모나리자"라 불리는 명화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Girl with a Pearl Earring'
렘브란트와 함께 17세기 네델란드를 대표하는 화가 '요하네스 베르메르'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그림입니다.
명화 "모나리자'의 정면 모습과 달리 옆으로 서서 고개를 돌린 소녀의 얼굴 표정을 그린 이 그림은 모델의 살짝 벌린 입술과 커다란 눈망울에서 나우는 신비스러운 미소와 빛이 연출하는 신비로움이 머리를 감싼 푸른 천의 색체와 그 위를 감싸고 길게 내린 황금색 천이 주는 시선의 무게, 그리고 반쯤 가려진 귀의 귓볼에 걸린 믿기지 않을 정도로 큰 진주 귀걸이의 크기와 빛에 반짝이는 은색 진주의 색체로 시선의 조화를 유도합니다. 특히 십대 후반으로 보이는 아직 어린 소녀의 순수한 풋풋함과 여성으로서의 은은함이 절제된 듯 표현되고 있고 소녀의 표정에서 유명화가의 모델로서의 흥분감과 기대감이 함께 엿보이는, 한 마디의 단어로는 쉽게 표현하기 어려운 신비로운 분위기의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이 신비로운 분위기와 알려지지 않은 모델, 그리고 화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려지지 않은 까닭에 한번 만 보아도 쉽게 잊혀지지 않는 이 그림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게 되고 그림(특히 모델)에 관해 전해지는 이야기에 작가 고유의 해석및 상상력이 덧붙여져 소설과 연극, 그리고 영화로도 만들어 지게 됩니다.
소설(1999)에서는 이 소녀가 가정형편 때문에 화가의 집 하녀(이름:그리트)로 들어 가고 이 명화의 모델이 된 것으로 스토리를 구성하고, 두 사람(하녀와 주인이자 화가)사이의 감정선을 극적인 부분이 없는 내재된 사랑이야기로 꾸밉니다.
아마도 그림에서 보여지는 신비스러움을 표현하기 위한 작가의 의도적 구성, 즉 두 사람 사이의 외부적 신분 관계(주인과 하녀 / 유명화가와 무명 아마츄어 모델 / 유부남과 앳된 처녀 )와 남자와 여자로서의 숨길 수 없는 애정과 사랑의 애틋함을 극적으로 연출하는 역설표현이라고 보여집니다.
영화(2003)에서는 소설의 밋밋함을 독자들의 상상력으로 극대화할 수 없기 때문에 두 주인공의 연기와 표정, 그리고 시대의 색체감과 빛(조명)의 연출로 영상미를 최대한 발휘하는 방법으로 신비의 분위기에 몰입하게 만듭니다. 절제된 사랑의 감정과 표현으로 더 강렬한 감성과 감정의 여운을 남기는 영화입니다.
제가 명화를 주제로 혹은 배경으로 하는 영화를 즐겨 보는 이유는 첫째로 명화가 그려진 배경들(시대의 상황/화가의 상황/화가에게 미친 영향 등)에 대한 궁금증, 둘째로 영화 속에 나오는 다른 그림들 감상, 셋째로 영화를 극대화 시키는 배경 음악 감상 때문입니다.
이 영상과 음악은 이 영화를 본 감상자가 올린 '헌정' 영화 편집본과 음악입니다.
전체적인 줄거리를 알 수 있고 감상할 수 있습니다.
영화의 주인공은 "스칼렛 요한슨"과 '콜린 퍼쓰"입니다. 일급 연기자들의 연기와 그림의 감상이 즐거운 영화입니다.
영화를 보고 나서 본 명화의 소녀 모습에서는 '불안하지만 행복한 감정'의 표정도 보였습니다.
즐거운 시간 되시기 바랍니다.
* 참고 : 이 그림은 1881년 헤이그의 한 경매장에서 단돈 2길드 30센트 (현 24유로)에 팔린 후 1902년 현 소장자인 Mauritshuis에게 무료 기증된 후 복구 작업을 거쳐 일본/미국/이태리에서의 순회 전시를 거쳐 현재 네넬란드 헤이그에 있는 그의 뮤지움에 영구 전시 되고 있습니다.
** 참조 : 위키 백과 / 위키 피디아 / 네이버 **
관련자료
-
링크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