쥴리 손 (Julie Son) - 부동산 전문 컨설턴트 (Re/Max Professionals)
황주연(Irene) 부동산
샘 마(Sam Ma) 위니펙 부동산 리얼터
신민경 부동산
네이션웨스트 보험 - 마틴권
Min ByungGyu 공인회계사
Buy & Sell
데이빗 최(David Choi) 위니펙 부동산 리얼터

 
전체검색 결과
상세검색
"이민" 검색 결과 : 게시판 1 / 게시물 37 / 4 페이지
  • 지난 주에는 위니펙의 명문 사립학교인 St. John’s-Ravenscourt School기숙사에서 벌어진 성폭행사건과 관련하여 위니펙의 양대 신문인 위니펙 프리 프레스(Winnipeg Free Press)와 위니펙썬(Winnipeg Sun) 의 신문지면이 시끄러웠습니다.신문 기사를 읽으면서 혹시나 한국 학생들이 연관되어 있으면 어떻하나 조마조마 했는데, 다행이 한국학생들이 연관된 것은 아니었습니다.사건의 내막을 간단히 요약하면, 기숙사에 있는11학년, 12학년 상급반 학생 4명(중국학생, 알버타출신 학생, 아프리카 출신 학생)이 …
    2010.04.22 22:39
  • [비밀글 입니다.]
    2010.03.02 19:01
  • 사회로 나가는 자녀에게 알려줘야 할 숫자들 두 번째--- “$10,000” 잡지에 의하면 캐나다 학생들의 대학 진학 율이 통계에 의하면 30%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개인적인 생각에는 다음 두 가지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첫 번째는 대학을 가지 않고도 기본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을 캐나다에서 가질 수 있다. 두 번째는 한인 이민자의 가정의 경우 자녀가 대학을 갈 때 자녀의 학비를 부모가 해주는 경우가 많은데 비해 캐나다인 자녀의 경우 대학을 진학 시 부모의 보조가 적고, 대학 학비의 많은 부분을…
    2009.10.30 16:20
  • 사회로 나가는 자녀에게 알려줘야 할 숫자들 첫 번째--- “750” 큰아이가 올해 대학을 가면서 대학교에 가서 크레디트 카드를 신청하고 사용해보라고 하면서 이야기해준 내용의 일부로 시간 여유 날때마다 숫자에 대해 하나씩 올리려합니다.흔히 이민을 처음 와서 아파트를 렌트하거나 차량을 살때 새로운 이민자들은 아직 크레딧이 없어 해줄수 없다는 말을 듣게 되는데 크레딧이라 하는 credit score(신용점수)입니다.Credit score 는 최저 300점에서 최고 900점으로 이루어져 있고 본인의 금융신용기록에 따라 점수가 오르거나 내…
    2009.10.30 13:20
  • 평소 제가 강조하는 내용이네요. 시문을 통해 단어나 문장력 뿐만 아니라 가치관이나 사고관을 알 수 있어서 에쎄이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민자녀들 뿐만 아니라 유학생들에게도 꼭 권하는 무료에쎄이 공부법인데 실천하는 학생은 1%도 되지 않는 것 같아 많이 안타깝습니다. 비싼 유학비 + 과외비 보다는 유학비 - 과외비 로 실속있는 학습법을 익히고 귀국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2009.10.07 01:26
  • '자녀 잘키우려면 신문 읽혀라'…'된장아빠의 버터아들 키우기’ 저자한인 1세대 이민 부모로서 아들을 명문 고교에 보내기까지의 경험담을 진솔하게 그린 수필집 ‘된장아빠의 버터아들 키우기’ 저자 김정수씨(버지니아 주 거주)가 시카고를 찾아 자신만의 교육 노하우를 한인부모들과 함께 했다.데스플레인의 성 정하상성당 유스그룹 학부모회 초청으로 시카고를 방문한 김정수씨는 4일 개최한 세미나에서 “자녀를 키우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전인교육”이라며 “성장기에 맞는 문화, 체육 등 사회와 인성개발에 필요한 교육이 학과교육과 함께 병행되야 한다”고 …
    2009.10.06 12:26
  • 대학교 입학 시 받는 장학금에 대한 이런 저런 생각들 자녀가 대학에 들어가는 시기가 되면 대학 선정 시 중요도를 1. 무엇을 전공 할 것인가? 2. 어느 대학에 지원 할 것인가? 3. 장학금 금액은 얼마나 받을 수 있나? 에 맞추어 생각하게 되고 아무래도 뿌리내린 캐나다인에 비해 연륜이 적은 이민자로서는 3번을 생각 안 할 수 없고 자녀가 원하는 대학을 많은 장학금을 받고 가면 더 좋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재 장학금이라는 일반적인 생각과는 약간 달리 웃기는(?) 면이 있다. 우선 생각하기에 입학 시 주는 성적우수 장학금이…
    2009.09.21 15:03
  • 대학 입학 전에 충분한 준비가 필요한 과목 수학!! 전공하려는 과에 따라 다르겠지만 의외로 많은 캐나다 학생이 수학 때문에 최저 학점평균을 유지 못해 학교를 Drop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수학은 한국학생들이 많이 선택하는 Math, Science 그리고 Engineering을 전공하려는 학생에게는 필수과목이고 학교에 따라서는 Business 전공에도 1학년에 필수과목으로 포함되었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캐나다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수학 실력이 필요요건에 훨씬 못 미쳐 대학마다 수학 튜터프로그램를 학교마다 두고 있고 수학 때문…
    2009.09.21 11:07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또한 댓글을 달아주신 jang님께도 적극 참여하여 주셔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홈페이지 관리자로서 잠시 해명을 하면, 이민이나 유학게시판 등 대부분의 게시판에 글을 쓰는데 20점 ~ 30점까지 글을 쓰는 회원분들에게 포인트를 드리지 포인트를 빼앗지는 않습니다. 다만 온라인 벼룩시장/장터는 포인트가 있는 분들에게만 쓰기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민/유학 그룹의 게시판은 글을 읽을 때 2점씩 포인트를 감점합니다. 그외 그룹의 게시판을 읽을 때는 포인트 감점이 없습니다. 이는 회원분들이 서로가 아는 정보…
    2009.09.18 19:58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민자 자녀의 경우 3번 방법이 괜찮다고 합니다. 부모입장에선 자녀 학비 걱정을 하지 않아서 좋고, 자녀입장에선 학업중 학비와 생활비가 보장되고 졸업후 취업과 동시에 경력을 쌓을 수 있어 5년 복무후 그 다음 직장을 잡을 때 많이 도움이 된다고 하네요. 물론 적성에도 맞아야 하고 방학때 군사훈련을 받아야 하니 그것이 어려운 점이겠네요.
    2009.09.17 21:41
알림 0